CORS Cross-Origin Resource Sharing (CORS) - HTTP | MDN Cross-Origin Resource Sharing (CORS) is an HTTP-header based mechanism that allows a server to indicate any origins (domain, scheme, or port) other than its own from which a browser should permit loading resources. CORS also relies on a mechanism by which developer.mozilla.org 웹 개발을 하다보면 언젠가 한번쯤은 CORS 관련 오류를 만날 수 밖에 없다 그러면 CORS란 뭘까? CORS (Cr..
HTTP의 Stateless HTTP 프로토콜은 기본적으로 요청 ↔ 응답을 진행한 후 이전 통신에 대한 상태를 저장하지 않는 Stateless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HTTP가 Stateless함에 따라 다음과 같은 이점이 존재한다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오버헤드가 줄어든다 상태를 유지하지 않기 때문에 확장성(Scale Out)이 높다 하지만 어느 특정 상황에서는 Client측의 여러 정보들을 Server측에서 기억해야 할 필요가 있어졌고 Client-Server간의 상태를 Stateful하게 유지해야 할 필요성이 높아졌다 특정 사용자 접속 제한 사용자에 따른 추천 시스템 ... 쿠키 쿠키는 HTTP의 Stateless함을 보완하기 위해서 Client측에 일시적/영구적으로 저장되는 정보이다 특징 웹 브라우저..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
새 글 쓰기 |
W
W
|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
맨 위로 이동 |
T
T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